콜로세움(Colosseum):고대 로마의 원형 경기장
콜로세움(Colosseum)은 고대 로마 시대의 건축물 가운데 하나로 로마 제국 시대에 만들어진 원형 경기장이다.
현재는 로마를 대표하는 유명한 관광지로 탈바꿈하였다.
콜로세움이라는 이름은 근처에 있었던 네로 황제의 거상(巨像:colossus)에서 유래한다.
스마트폰 파노라마 기능으로 촬영한 사진이다.
콜로세움(Colosseum)의 역사
콜로세움은 네로 황제의 황금 궁전(도무스 아우레아)의 정원에 있던 인공 호수 자리에 세워진 것이다.
공사는 베스파시아누스 황제에 의해 72년에 착공되어 8년 동안의 기적적인 역사를 거쳐 티투스 황제 때인 80년에 준공되었다.
콜로세움은 높이 48m, 둘레 500m 등 경기장 내부의 길이 87m와 폭 55m라는, 웅장한 건축물이다.
당시에 건립된 건축물 가운데 최대의 건축물이었다.
티투스는 등극하기 전인 70년에 이스라엘 왕국과의 전쟁에서 대승을 거두고 10만 명의 포로를 데리고 귀환하였다.
그 중 4만 명을 동원하여 콜로세움을 건축했다는 전설이 있다.
콜로세움은 검투사들끼리의 싸움이나 맹수들과의 싸움을 시민들에게 구경시킴으로써 한편으로는 일체감과 애국심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다른 한편으로는 공포심을 심어주기 위한 정치적인 목적으로 건립되었다.
콜로세움은 608년까지는 경기장으로 사용되었지만 중세기에는 군사적 요새로 이용되었다.
그 이후에는 성당이나 궁전 등의 건축에 사용될 자제의 제공 터가 되었다.
콜로세움(Colosseum)의 구조
이 거대한 원형극장은 4층으로 되어 있었다.
1층은 높이 10.5m의 도리아식 반원주,
2층은 높이 11.85m의 이오니아식 기둥,
3층은 11.6m의 코린트식 기둥으로 되어 있다...
4층은 관중들이 작열하는 햇빛을 피할 수 있게 벨라리움이라는 천막을 고정시키기 위한 장대장치를 지탱하는 벽으로 되어 있다.
이외에도 계단과 독립 공간, 즉 갈레리아가 있었다.
이 갈레리아는 이집트산 콩, 음료수 등을 파는 상인들의 휴식공간으로 많은 시민들이 여기서 조우했다.
경기장 바닥은 모래로 덮이고, 곳곳에는 사냥장의 분위기를 살려 나무와 구릉을 설치하였다.
바닥 밑에는 노예들과 맹수들을 수용하던 각종 우리 시설이 갖추어져 있었다.
처음에는 바다에서의 싸움 장면도 연출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바닥 전체에 물을 가두는 일이 용이하지 않아 별도의 공간을 따로 마련하였다.
그러나 이 건물의 설계자가 누구인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
도미티아누스의 건축가 라비리우스라고 하기도 하고, 가운덴키우스라는 사람이라고도 하는데, 단지 추측일 뿐이다.
콜로세움은 제정기 로마의 복 받은 로마 시민의 오락시설로, 여기에서 글라디아토르(검투사)의 시합, 맹수 연기 등이 시행되었다.
글라디아토르의 싸움은 많은 영화에서 묘사되었듯이 잔혹하고 피가 난자한 싸움으로 유명하다.
또 맹수와 사람의 싸움, 바닥에 물을 채우고 작은 배로 벌이는 모의 해전 등 다양하고 처참한 싸움들이 이루어졌다.
콜로세움의 인상적인 겉모습을 마주 할때에 어떤 느낌이 드는지 말로 표현하기는 어렵다.
오늘날의 관광객들과 로마의 주민들은 잘려나간 콜로세움의 모습에 익숙하다.
그러나 현재의 콜로세움은 파손된 잔해이자 온전허지 못한 퇴락한 모습이다.
밖에서 보면 둥근 외벽부분이 거의 절반 밖에 남아 있지 않고 안에소 보면 아취 모양의 벽돌 골조만 남아있다.
두개의 기둥사이에 사람이 올라가는 계단이 눈에 띈다. 우리가 들어갈 구역이다.
우리는 다른 사람들을 따라간다.
콜로세움의 구조는 정말 인상적이다.
효율적인 출구와 통로구조 덕분에 많은 사람들이 신속하게 드나들수 있도록 설계되어있다.
이제 거의 다왔다.
터널에서 빠져 나오는것 같다.
관중의 함성소리는 점점 강해진다.
저음으로 으르렁대는 소리는 점점 커진다.
어느순간 우리는 밖으로 나온다.
눈이 부셔서 잘보이질 않는다.
우리 앞에 깔대기 모양의 넓고 깊은 인공계곡이 펼쳐진다.
사람이 완전히 뒤덮혀 있다.
관중은 5만에서 7만정도의 사람이 함성을 지르고 환호하고 잔뜩 흥분해 있다.
온갖 인종의 관중은 마치 인간 색종이로 보는것 같다.
우리가 떠올리수 있는 이장소와 비슷한 이미지는 단테가 쓴 지옥편에 나오는 장소가 유일한 것이다.
콜로세움은 로마가 4세기경 기독교를 국교로 정하고 사용하지 않기 시작하면서 지진과 무관심 속에 무너지기 시작했다.
또 중세에는 큰 건물과 교회를 짓기 위한 채석장이 되면서 외벽이 많이 훼손되었다.
하지만 콘크리트가 없었던 시절에 돌로 이토록 거대한 건축물을 만들었다는 사실 때문에 콜로세움은 세계 불가사의 중 하나로 꼽히기도 한다.
트래버틴에 새겨진 숫자 덕분에 우리는 자리를 찾는다.
마지막 공개 처형이 집행되고 있다.
한남자가 곰에 쫓겨 달아나고 있다.
그는 묶여져 있던 봉에서 자유로워 졌다.
이 갑작스런 상황에 관중들은 무척 즐거워 한다.
남자는 지그재그로 달린다.
그리고 원형 투기장 둘레에 쳐진 울타리를 향에 뛰어 오른다.
곰은 거의 남자를 덮치기 직전이지만 그는 높이 뛰어 울타리 위로 올라가 목숨을 구한다.
이를 지켜보던 관중들은 커다란 웃음을 떠뜨린다.
남자에게 힘을 준것이 절망이다.
근 미끄러지고 다시오르기를 반복하면 울타리위로 간신히 기어올라 울타리 꼭대기 까지 오른다.
그는 그 너머로 뛰어 내릴수 있을까?
콜로세움의 비밀
콜로세움은 더 많은 사람을 수용하기 위해서 타원형으로 건축되었다.
이 외에도 그랜드 스탠드는 어느 자리에서든 최고의 시야을 확보하기 위해서 37도 경사져 있다.
대리석으로 만든 그랜드 스탠드는 눈부신 흰색이지만 아무데나 앉을 수 있는 것이은 아니다.
어느 정도는 우리네 경기장처럼 다양한 구역으로 나뉜다.
원형 투기장에서 가장 가까운 아래층 좌석은 원로의 의원.베스타 신전의 여사제. 사제.판사처럼 주요 인물들을 위한 자리이다.
위로 올라가면 전사자들을 위한 구역이 나온다.
그 위로는 최고 수준의 장인. 상인. 일반 내빈등을 위한 구역이다.
조각상이 놓여 있는 벽감을 설치하여 통로를 분리해 놓은 위쪽자리는 서민용이다.
그들은 콜로세움에서 가장높은 곳에 앉는다.
1층은 높이 10.5m의 도리아식 반원주,
2층은 높이 11.85m의 이오니아식 기둥,
3층은 11.6m의 코린트식 기둥으로 되어 있다...
콘스탄티누스개선문(Arco di Constantino)
312년 콘스탄티누스 1세의 서로마 통일을 기념하여 원로원이 건조하여 315년 봉헌하였다.
높이 21 m, 너비 25.7 m, 안길이 7.4 m로, 본체는 백대리석, 아치 등의 일부에는 색채석을 사용하였다.
정면 기둥 위에 8개의 조상(彫像)이나 벽면 부조 등에는 전(前) 시대의 것을 다른 건물에서 옮겨 그대로 사용하였다.
티투스 개선문(1세기 후반),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개선문(3세기 초) 등과 같은 종류의 로마 모뉴먼트에 비하여,
고전문화의 우아함을 지닌 작품이다.
콜로세움(Colosseum)의 야경
밤에는 은은한 조명이 콜로세움을 감싸는데, 이 광경을 보는 것도 색다른 재미이다.
웅장한 건물이 조명을 받고 있는 것을 보면 옛날 검투사들의 생사를 가르던 힘이 느껴지는 듯 하다.
콜로세움은 매우 크지만 계단이 부담스러운 관광객들을 위해 친절하게 엘리베이터도 갖추고 있어 구경하기 좋은 곳이다.
The exodus song, Pat Boone
'■-유럽 건축물 > ♣----이탈리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룸 로마노(Foro Romano)-로마 (0) | 2012.10.08 |
---|---|
폼페이(Pompeii)-이탈리아 (0) | 2012.07.03 |
바티칸 미술관(Vatican Museum) (0) | 2012.06.08 |
오르비에트(Orvieto)---중세의 아름다운 마을-이탈리아 (0) | 2012.06.08 |
피렌체(Florence)-문화 예술의 성지 (0) | 2012.06.04 |